>알고리즘 문제
1. 다리를 지나는 트럭
1)문제
문제 설명
트럭 여러 대가 강을 가로지르는 일차선 다리를 정해진 순으로 건너려 합니다. 모든 트럭이 다리를 건너려면 최소 몇 초가 걸리는지 알아내야 합니다. 다리에는 트럭이 최대 bridge_length대 올라갈 수 있으며, 다리는 weight 이하까지의 무게를 견딜 수 있습니다. 단, 다리에 완전히 오르지 않은 트럭의 무게는 무시합니다.
예를 들어, 트럭 2대가 올라갈 수 있고 무게를 10kg까지 견디는 다리가 있습니다. 무게가 [7, 4, 5, 6]kg인 트럭이 순서대로 최단 시간 안에 다리를 건너려면 다음과 같이 건너야 합니다.
경과 시간다리를 지난 트럭다리를 건너는 트럭대기 트럭0 | [] | [] | [7,4,5,6] |
1~2 | [] | [7] | [4,5,6] |
3 | [7] | [4] | [5,6] |
4 | [7] | [4,5] | [6] |
5 | [7,4] | [5] | [6] |
6~7 | [7,4,5] | [6] | [] |
8 | [7,4,5,6] | [] | [] |
따라서, 모든 트럭이 다리를 지나려면 최소 8초가 걸립니다.
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다리에 올라갈 수 있는 트럭 수 bridge_length, 다리가 견딜 수 있는 무게 weight, 트럭 별 무게 truck_weights가 주어집니다. 이때 모든 트럭이 다리를 건너려면 최소 몇 초가 걸리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.
제한 조건- bridge_length는 1 이상 10,000 이하입니다.
- weight는 1 이상 10,000 이하입니다.
- truck_weights의 길이는 1 이상 10,000 이하입니다.
- 모든 트럭의 무게는 1 이상 weight 이하입니다.
2)솔루션
class Solution {
fun solution(bridge_length: Int, weight: Int, truck_weights: IntArray): Int {
var answer = 0
val q=ArrayDeque<Int>(bridge_length)
repeat(bridge_length){
q.addLast(0)
}
var total=0
var idx=0
while(true){
total-=q.removeFirst()
answer++
if(total==0&&idx==truck_weights.size) break
if(idx<truck_weights.size&&weight-total>=truck_weights[idx]){
val tmp=truck_weights[idx++]
total+=tmp
q.addLast(tmp)
}else{
q.addLast(0)
}
}
return answer
}
}
-처음에는 큐에 전부 0으로 채움
-트럭이 올라가면 트럭 무게를 큐에 집어넣음
-다리위 무게 총합이 한계라 트럭이 못올라가면 0을 넣음
-while문을 돌려서 시간 계산
2. 호텔 방 배정
1)문제
문제 설명
[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.]
"스노우타운"에서 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"스카피"는 호텔에 투숙하려는 고객들에게 방을 배정하려 합니다. 호텔에는 방이 총 k개 있으며, 각각의 방은 1번부터 k번까지 번호로 구분하고 있습니다. 처음에는 모든 방이 비어 있으며 "스카피"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고객에게 방을 배정하려고 합니다.
- 한 번에 한 명씩 신청한 순서대로 방을 배정합니다.
- 고객은 투숙하기 원하는 방 번호를 제출합니다.
- 고객이 원하는 방이 비어 있다면 즉시 배정합니다.
- 고객이 원하는 방이 이미 배정되어 있으면 원하는 방보다 번호가 크면서 비어있는 방 중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을 배정합니다.
예를 들어, 방이 총 10개이고,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[1, 3, 4, 1, 3, 1] 일 경우 다음과 같이 방을 배정받게 됩니다.
원하는 방 번호배정된 방 번호1 | 1 |
3 | 3 |
4 | 4 |
1 | 2 |
3 | 5 |
1 | 6 |
전체 방 개수 k와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들어있는 배열 room_numb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각 고객에게 배정되는 방 번호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- k는 1 이상 1012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oom_number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200,000 이하입니다.
- room_number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 k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oom_number 배열은 모든 고객이 방을 배정받을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- 예를 들어, k = 5, room_number = [5, 5] 와 같은 경우는 방을 배정받지 못하는 고객이 발생하므로 이런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2)솔루션
class Solution {
fun solution(k: Long, room_number: LongArray): LongArray {
var answer = LongArray(room_number.size)
val assigned=HashMap<Long,Long>()
//방을 추가시에는 키는 배정된 방, 값은 빈방
//키로 체크해서 배정된 방이 아니면 키+1로 맵에 넣어줌
//키로 체크해서 배정된 방이면 배정된 방들목록을 모아두면서 다음방으로 넘어감
//배정되지 않은 방이 나오면 배정해줌(마찬가지로key,key+1)
//모아둔 방들의 값도 전부 key+1로 갱신
for((i,value) in room_number.withIndex()){
var v=value
val tmpset=HashSet<Long>()
while(assigned.containsKey(v)){
tmpset.add(v)
v=assigned[v] as Long
}
for(j in tmpset){
assigned.put(j,v+1)
}
assigned.put(v,v+1)
answer[i]=v
}
return answer
}
}
>팀프로젝트
'코틀린-안드로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4일차)알고리즘 문제(소수 찾기, 쿼드 압축 후 개수 세기) (0) | 2024.07.06 |
---|---|
43일차)알고리즘 문제(가장 큰 수), 피그마 강의, 팀프로젝트 (1) | 2024.07.05 |
40일차)알고리즘 문제(2개 이하로 다른 비트), 팀 프로젝트 (1) | 2024.07.03 |
39일차)알고리즘 문제(숫자 변환하기), 챌린지반 2회차 강의(OOP설계), 팀프로젝트(입문주차) (0) | 2024.07.02 |
38일차)알고리즘 문제(롤케이크 자르기, 트리 트리오 중간값, 등대, 미로 탈출, 가사 검색), 코드카타 리뷰(대각선 공식,BigDecimal,setScale), 입문 과제 해설강의, git&github강의 (0) | 2024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