>알고리즘 문제
1. 문제
나만의 카카오 성격 유형 검사지를 만들려고 합니다.
성격 유형 검사는 다음과 같은 4개 지표로 성격 유형을 구분합니다. 성격은 각 지표에서 두 유형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.
1번 지표 | 라이언형(R), 튜브형(T) |
2번 지표 | 콘형(C), 프로도형(F) |
3번 지표 | 제이지형(J), 무지형(M) |
4번 지표 | 어피치형(A), 네오형(N) |
4개의 지표가 있으므로 성격 유형은 총 16(=2 x 2 x 2 x 2)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RFMN"이나 "TCMA"와 같은 성격 유형이 있습니다.
검사지에는 총 n개의 질문이 있고, 각 질문에는 아래와 같은 7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.
- 매우 비동의
- 비동의
- 약간 비동의
- 모르겠음
- 약간 동의
- 동의
- 매우 동의
각 질문은 1가지 지표로 성격 유형 점수를 판단합니다.
예를 들어, 어떤 한 질문에서 4번 지표로 아래 표처럼 점수를 매길 수 있습니다.
선택지성격 유형 점수매우 비동의 | 네오형 3점 |
비동의 | 네오형 2점 |
약간 비동의 | 네오형 1점 |
모르겠음 |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|
약간 동의 | 어피치형 1점 |
동의 | 어피치형 2점 |
매우 동의 | 어피치형 3점 |
이때 검사자가 질문에서 약간 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어피치형(A) 성격 유형 1점을 받게 됩니다. 만약 검사자가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네오형(N) 성격 유형 3점을 받게 됩니다.
위 예시처럼 네오형이 비동의, 어피치형이 동의인 경우만 주어지지 않고, 질문에 따라 네오형이 동의, 어피치형이 비동의인 경우도 주어질 수 있습니다.
하지만 각 선택지는 고정적인 크기의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.
- 매우 동의나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3점을 얻습니다.
- 동의나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2점을 얻습니다.
- 약간 동의나 약간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1점을 얻습니다.
- 모르겠음 선택지를 선택하면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.
검사 결과는 모든 질문의 성격 유형 점수를 더하여 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성격 유형이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. 단, 하나의 지표에서 각 성격 유형 점수가 같으면, 두 성격 유형 중 사전 순으로 빠른 성격 유형을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.
질문마다 판단하는 지표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survey와 검사자가 각 질문마다 선택한 선택지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cho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이때, 검사자의 성격 유형 검사 결과를 지표 번호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1 ≤ survey의 길이 ( = n) ≤ 1,000
- survey의 원소는 "RT", "TR", "FC", "CF", "MJ", "JM", "AN", "NA" 중 하나입니다.
- survey[i]의 첫 번째 캐릭터는 i+1번 질문의 비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.
- survey[i]의 두 번째 캐릭터는 i+1번 질문의 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.
- choices의 길이 = survey의 길이
- choices[i]는 검사자가 선택한 i+1번째 질문의 선택지를 의미합니다.
- 1 ≤ choices의 원소 ≤ 7
1 매우 비동의 2 비동의 3 약간 비동의 4 모르겠음 5 약간 동의 6 동의 7 매우 동의
2. 솔루션
class Solution {
fun solution(survey: Array<String>, choices: IntArray): String {
var answer: String = ""
var map=mutableMapOf<Char,Int>('R' to 0, 'T' to 0, 'C' to 0,'F' to 0, 'J' to 0, 'M' to 0, 'A' to 0, 'N' to 0)
for(i:Int in 0..choices.size-1){
var tmp=choices[i]
if(tmp<4){
map[survey[i][0]]=map[survey[i][0]]!!.plus(when(tmp){
1 -> 3
2 -> 2
else -> 1
})
}else if(tmp>4){
map[survey[i][1]]=map[survey[i][1]]!!.plus(when(tmp){
5 -> 1
6 -> 2
else -> 3
})
}
}
answer+=if(map['T']?:0>map['R']?:0) "T" else "R"
answer+=if(map['F']?:0>map['C']?:0) "F" else "C"
answer+=if(map['M']?:0>map['J']?:0) "M" else "J"
answer+=if(map['N']?:0>map['A']?:0) "N" else "A"
return answer
}
}
-미리 모든 유형을 담은 mutableMap을 생성. 처음 값은 전부 0점으로 설정함.
-설문지와 선택지를 통해 각 Map에 담긴 성격유형에 점수를 채워감
-최종적으로 점수를 통해 성격유형을 도출하도록 함
3. 느낀점.
-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았으나 Map을 사용하다보니 null처리가 약간 거슬렸다. 그래도 어제 null안정성을 공부하여 문제는 없었다.